구)시외버스 터미널이다. 간이 터미널의 형태를 하고있다.
최근까지 사용되었으나, 터미널을 신축 이전하면서 구)터미널이 되었다.
추후 활용계획은 있으나, 아직 시행 전이다.
촬영 희망시 최소 1달 전 논의와 협조 요청이 필요하다.
구)시외버스터미널로 시내 중심에 위치해 필수제반시설은 인근에 분포해 있다.
원주 반곡동에 위치한 관공서 본사 건물로, 촬영시 별도의 협의가 필요하다.
총 14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복층으로 된 휴게실과 대강당으로 향하는 복도, 계단 등이 매력적이다.
건물 내외부가 깔끔하고 도시적인 느낌이 있어서, 극 중 서울 회사 느낌의 분위기를 연출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사진은 휴게공간, 옥상, 도서관 등을 담고 있다.
원주 반곡동에 위치한 관공서 본사 건물로, 촬영시 별도의 협의가 필요하다.
총 14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복층으로 된 휴게실과 대강당으로 향하는 복도, 계단 등이 매력적이다.
건물 내외부가 깔끔하고 도시적인 느낌이 있어서, 극 중 서울 회사 느낌의 분위기를 연출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사진은 사무실, 회의실 등을 담고 있다.
사장 집무실 내의 공간이 매우 인상적이다.
원주 반곡동에 위치한 한국관광공사 본사 건물로, 촬영시 별도의 협의가 필요하다.
총 14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복층으로 된 휴게실과 대강당으로 향하는 복도, 계단 등이 매력적이다.
건물 내외부가 깔끔하고 도시적인 느낌이 있어서, 극 중 서울 회사 느낌의 분위기를 연출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사진은 건물외경, 로비, 복도를 담고 있다.
화천군 화천읍 인근 하리 언덕위에 위치한 향교
1985년 01월 17일 강원문화재자료 제102호로 지정되었다.
6.25전쟁으로 인하여 대성전을 비롯한 교궁건물과 남아있던 문서들은 불에 타거나 소실되었다
외삼문을 마주보는 위치에 정면 4칸, 측면2칸의 명륜당이 있고, 계단을 올라가면 내삼문이 있다
내삼문 앞에 정면3칸, 측면2칸의 대성전이 있고 옆에는 제기고가 있다.
언덕 끝자락에 있어 뒤편으로 현대물이 거의 걸리지 않는다.
향교에서 화천 읍내를 내려다 볼 수 있으며, 향교 안으로 진입하는 길에 벚꽃나무가 인상적이다.
벚꽃 개화시기인 봄에는 또다른 뷰를 볼 수 있다.
- 약 10000 평의 부지 중 도로를 등지고 왼쪽에 있는 일부 부지에 현재 삼악산케이블카 조성 공사로 인해, 실 사용가능 면적은 약 6000평 정도이다.
- 매년 여름 국제레저대회 때는 주차장으로 이용되며. 간혹 차박을 하는 캠핑객들이 있다.
- 땅은 자갈밭과 흙밭이 섞여있다.
- 앞쪽으로 차량이동량이 적은 국도, 반대편엔 산책로,자전거도로와 강이 위치해있어 큰 소음이 예상되는 공간은 아니지만,
케이블카 조성 공사로 큰 공사차량들이 이동 할 수도 있어 소음이 예상된다.
- 오픈세트 부지 등으로 촬영을 함에 있어 춘천시와 협의가 필요하다.
약 4400평 정도 규모의 야외 캠핑장 부지로, 땅은 사진에서 보듯 자갈과 흙이 섞여있다.
- 송암스포츠타운 내에 위치한 야외 캠핑장으로, 의암빙상장 주차장과 인접해있다. 뒤로는 의암호와 산책로가 보인다.
인근에 있는 주경기장은 강원F.C 홈구장으로 사용되고 있어 경기가 있는 날은 관중들로 인한 인파가 밀려든다.
- 지역축제 기간에는 다른 용도로 임대활용된다.
(현재 사진에 보이는 철조망과 깃발 등의 시설물은 마임축제로 인해 설치됨.)
- 오픈세트 부지 등으로 촬영을 함에 있어 춘천시와 협의가 필요하다.
- 송암스포츠타운 내에 위치한 카트경기장. 현재는 이용객이 적어 예약제로 운영하고 있다.
- 약 3800평 규모로, 센터건물을 등지고 우측에 R.C카 전용 서킷을 만들었다. 이곳을 제외하면 카트경기장 면적은 약 2400 평이다.
- 여름시즌에는 야외수영장 및 워터파크로 시설물을 설치하여 이용됨으로 촬영이 어렵다.
- 동절기(11월 중순~3월 말)에는 폐장을 하여 이 시기에는 비교적 수월하게 촬영하는 팀과 협의여지가 있을 듯 싶다.
- 촬영을 함에 있어 춘천시와 협의가 필요하다.
- 숙박과 식사 외의 촬영필수제반시설은 6km(15분 이내) 정도 나가면 춘천시내에서 접할 수 있다.
2016년도 D.B
http://www.gwfilm.kr/?c=location&m=locationView&cPage=1&topic=&topic2=&area=&keyword=%EC%B9%B4%ED%8A%B8&pagetype=gallery&detail_tab=&seqNo=2048&pagetype=gallery
- 송암스포츠타운 내에 위치한 인라인경기장으로, 주경기장 맞은편에 위치해있다.
- 무료로 개방되어 있으나 평일은 이용객이 거의 없으며 주말에 가족단위로 사람들이 모이는 편이다.
※ 다만 앞에 위치한 주경기장이 강원F.C 홈구장으로 사용되고 있어 경기가 있는 날은 관중들로 인한 인파가 밀려든다.
- 경기장 밖으로 산책로 및 자전거도로가 조성되어 있으며 그 너머로 강이 보인다.
- 지역축제 기간에는 다른 용도로 임대활용된다.
- 매년 여름시즌엔 국제레저대회 개최로 촬영이 힘들다.
레일바이크 구간에는 4개의 터널이 있다. 팔미터널(77M), 의암1터널(240M), 의암2터널(150M), 피암2터널(50M), 피암3터널(50M), 삼악터널(357M)이다.
피암 2·3터널과 삼악터널은 짧은 간격을 두고 이어져 있으며 터널 내부에 비눗방울이나 레이저 등으로 꾸며져 있고 음악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전기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열차는 총 3개의 칸으로 이어져 있으며, 2칸은 실내, 1칸은 야외로 되어있다.
5월과 10월은 성수기로 9시부터 18시까지 운행되며 단체나 외국이 관광객이 많다.
김유정 레일바이크 편의시설은 누리나비(짚와이어), 매표소, 매점, 카페, 휴게실, 탑승장, 화장실, 주차장 등이 있다.
대형주차가 가능하며 주차장 바로 옆에 김유정 역이 있어 경춘선과 ITX가 지나다닌다.
대형주차장을 지난 후, 탑승장 입구 왼편에는 누리나비(짚와이어) 탑승장이 있고 큰길을 따라가면 광장이 있다.
광장에는 분수대, 매표소, 테이블, 카페, 휴게실, 화장실 등이 있고 매점과 휴게실, 카페 외벽은 소설책 표지로 꾸며져 있다.
5월과 10월은 성수기로 단체관광객이나 외국인 관광객이 많다.
강원도산림박물관은 1997년 조성을 시작해 2002년에 개관하였다.
지하 1층·지상 2층 규모에 4개의 전시실을 비롯하여 4D입체영상관 및 식물유전자 연구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개관시간은 오전 10시~오후6시(11월~2월은 오전 10시~오후5시)이며 박물관 안 벽 일부분이 나무로 되어 있어 따뜻한 느낌을 연출 할 수 있다.
강원도산림박물관 앞 큰 광장이 있고 박물관 내에 층고가 높은 계단이 있다.
<2012년 1월 촬영분>
http://www.gwfilm.kr/?c=location&m=locationView&cPage=1&topic=&topic2=&area=&keyword=화목원&pagetype=gallery&detail_tab=&seqNo=1185&pagetype=gallery
강원도에 자생하는 향토 꽃나무의 발굴·전시, 종의 보존과 번식·보급, 시험 연구 기반 확충과 학생들의 자연학습장, 도시민의 문화공간을 제공할 목적으로 1999년 5월 20일 개원하였다. 전체 면적은 2만 4326평이며, 강원도 산림개발연구원에서 관리한다.주요 시설로는 강원도산림박물관, 향토꽃나무전시관, 임산물판매장, 안내실, 팔각정, 농기구창고 등으로 이루어진 건축물 외에 1만 5092평의 수목원, 만경원, 잔디원, 분수광장, 연못 및 돌다리 등이 있다.2002년 10월 31일 개관한 산림박물관은 5개의 전시실과 극장 시설을 갖추었고, 총 873종 4,330점의 식물이 전시되어 있다. 수목원에는 471종 4만 9493본의 식물이 식재되어 있는데, 대표식물은 개느삼·히어리·마가목·박쥐나물·겹황매화 등의 목본류와 금강초롱꽃·노랑무늬붓꽃·노루귀·금낭화·복수초 등의 초화류이다.향토꽃나무전시관은 자동화 시스템을 갖춘 유리온실과 강원도 자생화관, 상록관, 증식보급관으로 구성되어 있고, 12m 높이의 전망대가 설치되어 있다. 매년 봄과 가을에 철쭉분재, 자생화, 야생동물 등의 사진전시회를 연다.관람 시간은 3~10월에는 10시부터 18시, 11~2월에는 10시부터 17시까지이다. 입장료는 어른 1,000원, 청소년 700원, 어린이 500원이며, 단체는 할인된다. 산림박물관은 별도의 입장료를 받지 않지만, 특수영상관과 다목적실은 이용료를 내야 한다. 주변 관광지로는 소양호, 우두산(牛頭山) 공원, 육림공원 등이 있다. 강원도 춘천시 사농동 일대에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강원도립화목원 [江原道立花木園] (두산백과)
<2012년 1월 촬영분>
http://www.gwfilm.kr/?c=location&m=locationView&cPage=1&topic=&topic2=&area=&keyword=화목원&pagetype=gallery&detail_tab=&seqNo=1185&pagetype=gallery
강원도에 자생하는 향토 꽃나무의 발굴·전시, 종의 보존과 번식·보급, 시험 연구 기반 확충과 학생들의 자연학습장, 도시민의 문화공간을 제공할 목적으로 1999년 5월 20일 개원하였다. 전체 면적은 2만 4326평이며, 강원도 산림개발연구원에서 관리한다.주요 시설로는 강원도산림박물관, 향토꽃나무전시관, 임산물판매장, 안내실, 팔각정, 농기구창고 등으로 이루어진 건축물 외에 1만 5092평의 수목원, 만경원, 잔디원, 분수광장, 연못 및 돌다리 등이 있다.2002년 10월 31일 개관한 산림박물관은 5개의 전시실과 극장 시설을 갖추었고, 총 873종 4,330점의 식물이 전시되어 있다. 수목원에는 471종 4만 9493본의 식물이 식재되어 있는데, 대표식물은 개느삼·히어리·마가목·박쥐나물·겹황매화 등의 목본류와 금강초롱꽃·노랑무늬붓꽃·노루귀·금낭화·복수초 등의 초화류이다.향토꽃나무전시관은 자동화 시스템을 갖춘 유리온실과 강원도 자생화관, 상록관, 증식보급관으로 구성되어 있고, 12m 높이의 전망대가 설치되어 있다. 매년 봄과 가을에 철쭉분재, 자생화, 야생동물 등의 사진전시회를 연다.관람 시간은 3~10월에는 10시부터 18시, 11~2월에는 10시부터 17시까지이다. 입장료는 어른 1,000원, 청소년 700원, 어린이 500원이며, 단체는 할인된다. 산림박물관은 별도의 입장료를 받지 않지만, 특수영상관과 다목적실은 이용료를 내야 한다. 주변 관광지로는 소양호, 우두산(牛頭山) 공원, 육림공원 등이 있다. 강원도 춘천시 사농동 일대에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강원도립화목원 [江原道立花木園] (두산백과)
<2012년 1월 촬영분>
http://www.gwfilm.kr/?c=location&m=locationView&cPage=1&topic=&topic2=&area=&keyword=화목원&pagetype=gallery&detail_tab=&seqNo=1185&pagetype=gallery
과거, 도계 고등학교, 장원 초등학교 교사들의 관사로 쓰였고
현재 활용여부는 확인해야함.
2012년 과거 자료와 다르게 복도위에 샷시작업, 외관 보수공사를 진행했다.
2012년
http://gwfilm.kr/?c=location&m=locationView&cPage=1&topic=&topic2=&area=&keyword=관사&pagetype=gallery&detail_tab=&seqNo=1301&pagetype=gallery
긴잎느티나무는 느티나무의 변종으로 우리 나라에서만 발견되고 있는 흔치 않은 나무인데 일반 느티나무 보다 잎이 더 길고 좁다. 도계읍의 긴잎느티나무는 나이가 1000여 년 정도된 매우 오래된 나무로 추정되며, 높이 20m, 둘레 약 7.5m이다. 마을 사람들은 이 나무를 서낭당 나무로 섬기며 행복과 평안, 번영을 기원해 왔으며, 옛날에 많은 선비들이 이곳에 피난한 적이 있어서 지금도 입학 때가 되면 합격을 빌며 치성을 올리는 사람들이 있다고 한다. 전하는 말에 의하면, 이 나무가 학교 운동장에 자리하고 있어서 다른 나무로 서낭당 나무를 바꾸려고 하자 이 나무의 노여움을 사서 천둥과 번개가 쳤다고 한다. 도계읍의 긴잎느티나무는 크고 오래된 나무로서 생물학적 보존가치가 클 뿐만 아니라, 우리 조상들이 나무에 영혼을 부여하여 신성시 해온 문화적 자료로서의 가치도 높아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지정면적 : 1주1,983㎡ 지 정 일 : 1962-12-03
느티나무 공원에 벚꽃나무로 둘러싸여있어 봄, 벚꽃이 만개한 시점에는 특별한 뷰를 볼 수 있다.
도계읍내 "명랑사택"이라 불리는 사택단지이다.
실제 거주하는 주민들이 많은편이고,
촬영등을 위해서 주민들의 적극협조가 필요하다
2012년 자료
http://gwfilm.kr/?c=location&m=locationView&cPage=1&topic=&topic2=&area=&keyword=사택&pagetype=gallery&detail_tab=&seqNo=1302&pagetype=galle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