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청, 춘천시청을 비롯하여 산하 공공기관 등 행정시설과 상업시설들이 밀집되어 있는 중앙로터리(오거리) 일원이다
왕복 4차선 구간으로 로터리(오거리)에서는 직선구간으로 강원도청(500M), 춘천역과 춘천대교(1.7km가 각각 직선거리로 보인다
중앙 로터리의 길을 따라서 지하에는 서울 센트럴시티 앞 지하상가와 같은 대규모 지하상가가 조성되어있으며 관련 출입구만 20개가 넘는다.
평일에는 차량 소통이 상당히 많은 곳이다. 주말에는 상대적으로 통행량이 적지만 신도심으로 가는 교통 요지라는 점을 참고해야 한다.
일부 라인 건물들에는 90년대 분위기를 풍기는 곳도 있었지만 대부분 도시 디자인 사업을 하면서 현대식으로 많이 변모 되었다.
촬영 필수 제반 시설의 경우, 거의 대부분이 차량 5분 이내에 접근할 수 있으나....
주차장이 인근에 넉넉하지 못하다는 점 또한 참고해야 한다.
강원도청, 춘천시청을 비롯하여 산하 공공기관 등 행정시설과 상업시설들이 밀집되어 있는 중앙로터리(오거리) 일원이다
왕복 4차선 구간으로 로터리(오거리)에서는 직선구간으로 강원도청(500M), 춘천역과 춘천대교(1.7km가 각각 직선거리로 보인다
중앙 로터리의 길을 따라서 지하에는 서울 센트럴시티 앞 지하상가와 같은 대규모 지하상가가 조성되어있으며 관련 출입구만 20개가 넘는다.
평일에는 차량 소통이 상당히 많은 곳이다. 주말에는 상대적으로 통행량이 적지만 신도심으로 가는 교통 요지라는 점을 참고해야 한다.
일부 라인 건물들에는 90년대 분위기를 풍기는 곳도 있었지만 대부분 도시 디자인 사업을 하면서 현대식으로 많이 변모 되었다.
촬영 필수 제반 시설의 경우, 거의 대부분이 차량 5분 이내에 접근할 수 있으나....
주차장이 인근에 넉넉하지 못하다는 점 또한 참고해야 한다.
구)강릉문화회관이었던 곳으로 2018 평창 동계 올림픽을 계기로 재건축하여 강릉아트센터로 2017년 12월 개관하였다
대공연장(사임당홀), 소공연장, 세개의 전시실로 구성되어있다
소공연장의 경우, 구 건물로서 리모델링을 하였으며 385개의 객석과 무대가 있다.
분장실과 대기실의 경우, 무대 한켠에 위치하고 있다.
지상 2층 규모로 전통 한옥의 미를 살려 건축 되었다.
도보 거리에는 촬영필수제반시설이 없으며, 차량으로 5~10분 이내에 교동 및 강릉역 일대로 이동하면 된다.
구)강릉문화회관이었던 곳으로 2018 평창 동계 올림픽을 계기로 재건축하여 강릉아트센터로 2017년 12월 개관하였다
대공연장(사임당홀), 소공연장, 세개의 전시실로 구성되어있다
소공연장의 경우, 구 건물로서 리모델링을 하였으며 385개의 객석과 무대가 있다.
분장실과 대기실의 경우, 무대 한켠에 위치하고 있다.
지상 2층 규모로 전통 한옥의 미를 살려 건축 되었다.
도보 거리에는 촬영필수제반시설이 없으며, 차량으로 5~10분 이내에 교동 및 강릉역 일대로 이동하면 된다.
구)강릉문화회관이었던 곳으로 2018 평창 동계 올림픽을 계기로 재건축하여 강릉아트센터로 2017년 12월 개관하였다
대공연장(사임당홀), 소공연장, 세개의 전시실로 구성되어있다
대공연장인 사임당홀의 경우, 신축 건물로서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다.
1층에는 매표소, 카페 등으로 로비가 구성되어있다
건물 외벽이 통창 형식이어서 주변 경관이 보이지만 아파트와 종합운동장이 보이는 점에 다소 아쉬운 느낌이든다.
도보 거리에는 촬영필수제반시설이 없으며, 차량으로 5~10분 이내에 교동 및 강릉역 일대로 이동하면 된다.
구)강릉문화회관이었던 곳으로 2018 평창 동계 올림픽을 계기로 재건축하여 강릉아트센터로 2017년 12월 개관하였다
대공연장(사임당홀), 소공연장, 세개의 전시실로 구성되어있다
대공연장인 사임당홀의 경우, 신축 건물로서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다.
객석은 2개층 972석이며, 뮤지컬, 오페라, 연주회 등 대규모 공연 제작도 가능하게끔 설계된 대공연장이다.
도보 거리에는 촬영필수제반시설이 없으며, 차량으로 5~10분 이내에 교동 및 강릉역 일대로 이동하면 된다.
구)강릉문화회관이었던 곳으로 2018 평창 동계 올림픽을 계기로 재건축하여 강릉아트센터로 2017년 12월 개관하였다
대공연장(사임당홀), 소공연장, 세개의 전시실로 구성되어있다
대공연장인 사임당홀의 경우, 신축 건물로서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다.
객석은 2개층 972석이며, 뮤지컬, 오페라, 연주회 등 대규모 공연 제작도 가능하게끔 설계된 대공연장이다.
백스테이지는 국내 최대 규모로서 150명의 출연진이 오를 수 있는 규모이며,
70인조 오케스트라를 수용하는 피트가 있다.
또한 백스테이지 규모가 크다보니 백스테이지에서 객석 쪽을 본 모습이 깊이감이 있어 흥미로움을 준다
도보 거리에는 촬영필수제반시설이 없으며, 차량으로 5~10분 이내에 교동 및 강릉역 일대로 이동하면 된다.
구)강릉문화회관이었던 곳으로 2018 평창 동계 올림픽을 계기로 재건축하여 강릉아트센터로 2017년 12월 개관하였다
대공연장(사임당홀), 소공연장, 세개의 전시실로 구성되어있다
대공연장인 사임당홀의 경우, 신축 건물로서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다.
객석은 2개층 972석이며, 뮤지컬, 오페라, 연주회 등 대규모 공연 제작도 가능하게끔 설계된 대공연장이다.
백스테이지는 국내 최대 규모로서 150명의 출연진이 오를 수 있는 규모이며,
70인조 오케스트라를 수용하는 피트가 있다(지하층에서 무대로 올라감)
3층에 편의시설이 완비 된 회의실이 있고, 규모에 걸맞게 대형 리허설룸과 소형 리허설룸이 종류별로 있다
분장실 또한 1인실, 다인실 규모별로 구성이 되어있다
도보 거리에는 촬영필수제반시설이 없으며, 차량으로 5~10분 이내에 교동 및 강릉역 일대로 이동하면 된다.
2018 평창 동계 올림픽 컬링 경기가 열렸던 강릉 컬링 센터 지하에 위치한 실내 스케이트장
면적은 6,376제곱미터, 관중석은 400석 구비되어 있으며 아이스링크는 30M*61M 1개 면이 있다.
매표소 옆 매점에 스케이트장이 창너머 보이는 구내 식당이 있다
컬링센터와 마찬가지로 촬영필수제반시설은 도보 거리에는 없으며 차량 이동 5분 정도는 나가야 한다.
2018 평창 동계 올림픽 컬링 경기가 열렸던 강릉 컬링 센터
기존의 경기장을 올림픽을 대비하여 리모델링하였다.
관중석은 3,000석이며, 지상4층, 지하1층 규모며 컬링 코트는 4개 면으로 구성되어있다
컬링 센터 역시 시트가 없을 경우, 실내 촬영 세트로 임시 운영이 가능하겠으나...
소리의 울림과 함께...컬링 열풍으로 4개 면의 시트를 철거할 계획이 없다고 한다.
실내 체육관 장면...컬링 경기 장면의 촬영 시에 흥미로운 공간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촬영필수제반시설은 도보 거리에는 없으며 차량 이동 5분 정도는 나가야 한다.
단, 식당(매점)은 지하 스케이트장에 있다
2018 평창 동계 올림픽 컬링 경기가 열렸던 강릉 컬링 센터
기존의 경기장을 올림픽을 대비하여 리모델링하였다.
관중석은 3,000석이며, 지상4층, 지하1층 규모며 컬링 코트는 4개 면으로 구성되어있다
컬링 센터 역시 시트가 없을 경우, 실내 촬영 세트로 임시 운영이 가능하겠으나...
소리의 울림과 함께...컬링 열풍으로 4개 면의 시트를 철거할 계획이 없다고 한다.
실내 체육관 장면...컬링 경기 장면의 촬영 시에 흥미로운 공간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촬영필수제반시설은 도보 거리에는 없으며 차량 이동 5분 정도는 나가야 한다.
단, 식당(매점)은 컬링센터 지하 실내 빙상장에 있다.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아이스하키 경기가 열렸던 강릉 하키 센터
60*30 사이즈의 국제 규격 아이스하키 경기장으로 지상 3층, 10,000석 규모의 실내 경기장이다
올림픽 이후, 4월 현재 관련 시설물 철거 및 보수/정비 작업이 8월까지 진행 될 예정이다.
향후, 관리주체가 확정될 예정으로...
경기가 없는 시기에는 각종 촬영 및 공연 등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강원도 내에 실내 촬영 스튜디오가 없는 점을 감안하여 필요와 조건에 따라 단기 세트장으로의 활용도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단, 방음은 거의 완벽하지만...경기장 특성상 소리에 따른 울림 현상이 발생한다는 점은 촬영 용도로 다소 아쉬움이 아닌가 싶다.
더불어서 아이스하키 종목 특성상 강렬한 바디체크가 수반되는데 바디체크를 하는 투명 방어벽이 상당히 견고하게 구성되어 있어서
방어벽은 그대로 두는 것을 감안해야 한다. 참고로 탑차 수준의 차량 진입이 가능하다.
촬영필수제반시설은 도보 거리에는 식당 등이 없으며..차량 이동 10분여 이내에 강릉 시가지에 접근을 할 수 있다.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아이스하키 경기가 열렸던 강릉 하키 센터
60*30 사이즈의 국제 규격 아이스하키 경기장으로 지상 3층, 10,000석 규모의 실내 경기장이다
올림픽 이후, 4월 현재 관련 시설물 철거 및 보수/정비 작업이 8월까지 진행 될 예정이다.
향후, 관리주체가 확정될 예정으로...
경기가 없는 시기에는 각종 촬영 및 공연 등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강원도 내에 실내 촬영 스튜디오가 없는 점을 감안하여 필요와 조건에 따라 단기 세트장으로의 활용도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단, 방음은 거의 완벽하지만...경기장 특성상 소리에 따른 울림 현상이 발생한다는 점은 촬영 용도로 다소 아쉬움이 아닌가 싶다.
더불어서 아이스하키 종목 특성상 강렬한 바디체크가 수반되는데 바디체크를 하는 투명 방어벽이 상당히 견고하게 구성되어 있어서
방어벽은 그대로 두는 것을 감안해야 한다. 참고로 탑차 수준의 차량 진입이 가능하다.
촬영필수제반시설은 도보 거리에는 식당 등이 없으며..차량 이동 10분여 이내에 강릉 시가지에 접근을 할 수 있다.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아이스하키 경기가 열렸던 강릉 하키 센터
60*30 사이즈의 국제 규격 아이스하키 경기장으로 지상 3층, 10,000석 규모의 실내 경기장이다
올림픽 이후, 4월 현재 관련 시설물 철거 및 보수/정비 작업이 8월까지 진행 될 예정이다.
향후, 관리주체가 확정될 예정으로...
경기가 없는 시기에는 각종 촬영 및 공연 등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강원도 내에 실내 촬영 스튜디오가 없는 점을 감안하여 필요와 조건에 따라 단기 세트장으로의 활용도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단, 방음은 거의 완벽하지만...경기장 특성상 소리에 따른 울림 현상이 발생한다는 점은 촬영 용도로 다소 아쉬움이 아닌가 싶다.
더불어서 아이스하키 종목 특성상 강렬한 바디체크가 수반되는데 바디체크를 하는 투명 방어벽이 상당히 견고하게 구성되어 있어서
방어벽은 그대로 두는 것을 감안해야 한다. 참고로 탑차 수준의 차량 진입이 가능하다.
촬영필수제반시설은 도보 거리에는 식당 등이 없으며..차량 이동 10분여 이내에 강릉 시가지에 접근을 할 수 있다.
경기장 외부의 모습은 현재 공사 등으로 차후에 별도 업데이트를 예정한다.
대한민국 근대문화유산으로 등록문화재 제165호 반곡역
실제 화물열차와 여객열차가 운행중이며,
봄엔 벚꽃명소로도 유명하다.
원주 혁신도시 근처에 위치해있으며,
바로 아래 전원주택 단지가 새로 형성되어 촬영 시 주민 협조가 필요해 보인다.
* 2015년 10월 촬영분 링크 ↓
http://www.gwfilm.kr/?c=location&m=locationView&cPage=1&topic=&topic2=&area=&keyword=반곡역&pagetype=gallery&detail_tab=&seqNo=2014&pagetype=gallery
2018 평창 동계 올림픽을 계기로 개통한 KTX 경강선 횡성역
도내 횡성군에는 두개의 KTX 정차역이 신설되었다
횡성역은 비대칭 역사로서 작은 대합실 및 사무공간이 있다.
역사 외부 주차장 끝 부분에서는 직선 철로를 주행해서 오는 KTX의 모습을 볼 수 있다
횡성읍에 위치하여 촬영 필수 제반 시설 등 읍내 시가지로의 접근성(3KM/차량 5분 소요)이 상대적으로 좋다
단, 도보로 식당, 편의점 등의 촬영필수제반시설 접근은 어렵다.
국내선 전용 횡성(원주)공항으로의 접근은 6KM / 차량 10분이 소요 된다.
플랫폼 답사 소스 등은 추후 추가 업데이트를 예정한다.
매년 4월 삼척시 맹방해변일원에서는 '맹방유채꽃축제'가 열린다.
벚꽃개화시기와 맞물리면 아름다운 풍경을 일구기도 한다.
민박집들이 각각 특색을 띄고 있어 가정집으로 섭외할수도 있어보인다.
해변에서 촬영할 경우엔 관할 군 허가가 필요하다.
* 2011년 10월 맹방해수욕장 촬영분 링크 ↓
http://www.gwfilm.kr/?c=location&m=locationView&cPage=1&topic=&topic2=&area=&keyword=맹방&pagetype=gallery&detail_tab=&seqNo=731&pagetype=gallery